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 기자, 아자 정치부 조아라 기자 나왔습니다. <br> <br>Q. 조 기자, 대통령이 러시아 중국과 관련된 외신 인터뷰였는데, 돌발 발언은 아니었던 거죠? <br> <br>네, 대통령실은 돌발 발언이 아니라 준비된 발언이라는 입장입니다. <br> <br>하지만 민주당은 어제 공개된 윤석열 대통령의 로이터 통신 인터뷰가 서면이 아닌 대면으로 진행됐던 만큼 즉흥적으로 내뱉은 <br>'대통령의 실언'으로 몰아가는 분위기입니다. <br> <br>[이재명 / 더불어민주당 대표] <br>"파초선(파초잎으로 만든 부채) 처럼 부채질 같지만 그게 세상에 평지풍파를 폭풍을 몰고옵니다. 말 한마디가 표정 하나가 가지는 그 큰 영향력과 그 위험함을 인식하시고…" <br> <br>Q. 그럼 러시아와 중국의 반발을 예상하고 했다는 거네요? <br> <br>네 그렇습니다. <br> <br>대통령실 고위 관계자, 오늘 우크라이나 군사 지원 가능성에 대해 이렇게 말했습니다. <br><br>"앞으로 어떻게 할지에 대해서는 향후 러시아에 달려있다"<br> <br>말실수였다면 주워담아야 하는데 러시아가 앞으로 민간인에 대한 대규모 공격, 학살, 그리고 심각한 전쟁법 위반을 한다면 군사 지원이 가능하다는 뜻을 재차 밝힌겁니다. <br><br>그러면서 "교전국에 무기 지원을 금지하는 법률조항이나 외교부 훈령은 없다"며 한발 더 나아갔습니다.<br> <br>우리 정부의 무게 추가 군사 지원 쪽으로 조금씩 기울어지고 있는건 분명해 보입니다. <br> <br>중국에 대해서도 우리 외교부가 즉각적으로 "입에 담을 수 없는 발언을 했다"며 중국의 국격까지 거론하며 맞대응한 것을 보면 <br>윤 대통령의 인터뷰 내용은 준비된 것으로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. <br> <br>Q. 러시아와 중국에 대해 다소 강경해진 모습인데요. 입장이 왜 달라진 겁니까? 미국 방문과 관련이 있을까요? <br> <br>우크라이나 군사 지원에 대한 미국의 압박을 태도 변화의 이유로 꼽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. <br> <br>한 외교 소식통은 "우크라이나에 군사지원을 하라는 미국의 압박이 상당한 것으로 안다"고 전하기도 했는데요. <br><br>빅터 차 전략국제문제연구소 아시아 담당 부소장 겸 한국석좌는 나토 회원국을 지원하는 간접 지원 방식을 거론하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최근 미국의 불법 감청 논란이 불거진 미 국방부 기밀 문건 내용에도요. <br> <br>우크라이나에 포탄 지원방안을 고심하던 우리 외교안보 라인의 대화 내용이 담겨 있었지요. <br> <br>이번 순방에서도 미국이 우크라이나 군사 지원 문제를 정상회담 테이블에 올릴 가능성, 매우 높은데요. <br> <br>이 때문에 윤 대통령이 국내 반발에 대비해 선제적으로 명분 쌓기에 나섰다고 해석하는 시각도 있습니다. <br> <br>Q. 그런데 압박이 있다고 하니까 우크라이나에 직접 군사지원을 하는 나라가 얼마나 되나요? <br> <br>일단 미국이 우리 돈 62조 원 규모로 지원을 해 압도적인 1위고요, <br> <br>영국, 독일, 폴란드, 네덜란드 순입니다.<br><br>유럽 국가 외에도 캐나다, 호주 등 30여개 국가가 군사 지원을 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> <br>Q. 그러다보니 러시아가 북한에게 무기 지원하겠다고 나섰잖아요? 이건 괜찮은지? 민주당은 테러위협이 커질거라고 하던데요? <br> <br>러시아가 우크라이나 문제에 북한을 대놓고 끌어들이며 한반도 긴장을 고조시키는 모습인데요. <br> <br>민주당은 테러 위협 가능성까지 주장했습니다. <br> <br>[김병주 / 더불어민주당 의원] <br>"테러 형태는 할 수가 있겠죠. 북한을 통해서 하든 북한에 신무기를 지원한다든가 또는 다른 형태로 어떤 도발을 할 가능성은 있겠죠." <br> <br>러시아는 앞서 우크라이나에 군사 지원은 물론이고 경제 지원을 한 나라들을 협박했는데요. <br> <br>스웨덴이 나토 동맹에 가입하려 하자 스톡홀름 주재 러시아 대사관이 나서 "가입할 경우 군사적 보복을 가하겠다"고 위협한 바 있습니다. <br> <br>그 외 네덜란드, 불가리아, 덴마크 등에는 가스 공급을 중단한 바 있습니다. <br> <br>Q. 어쨌든 우리가 미국이 원하는 방향으로 하는 건데 미국 방문에서 우리가 받을 건 뭘까요? <br> <br>대통령실은 북핵에 대응할 확실한 확장억제력과 경제안보 협력을 기대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오는 26일 한미 두 정상은 회담과 만찬을 갖는데요. <br> <br>'한국식 핵공유'가 명문화될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이번 방미에 122개의 기업들도 동행하는데요. <br> <br>반도체와 자동차 분야에서 우리가 바라는 결과를 얻어낼지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.